월급 세전 세후 쉽게 계산하는법

Posted by 비알레띠
2018. 6. 13. 15:02 생활정보

월급을 받으면 본인이 알고 있는 연봉과 차이가 많이 나서 당황스러운적 있으세요? 연봉은 주로 세전금액으로 언급되고, 월급은 세후금액으로 직접 수령받기 때문인데요. 월급 세전 세후 차이는 생각보다 많이 날 수 있어요.

 

 

월급이 많을수록 내야하는 세금의 비율이 높아서 연봉이 나보다 배로 높다고 해서 월급도 실제로 배로 받는것이 아니에요. 그러므로 실제로 연봉계산기를 통해 계산을 해보면 근사치는 확인해 볼 수 있답니다. 포털사이트에 연봉계산기라고 입력하면 임금계산기가 나옵니다. 연봉시트에서 연봉 또는 월급을 넣고 계산하기를 선택하시면 되요. 

 

월급 세전 세후

 

저는 연봉 4천만원을 입력해봤어요. 비과세액은 일반적인 비과세 금액으로 한달애 10만원을 표준으로 넣어두었는데 회사의 비과세액을 안다면 입력하면 더 정확할것 같아요. 저같은 경우에는 교통비를 비과세로 받기 때문에 그대로 두었습니다. 부양가족수, 20세 이하 자녀수가 있다면 함께 선택한 후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하세요.

 

월급 세전 세후

 

연봉 4,000만원의 경우 1년 예상 실수령액은 35,276,680원이구요, 월 환산금액은 2,939,723원이 됩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근로소득세를 제외하면 실제로 월급 세전 세후 차이는 크게 나타는 것이죠.

 

월급 세전 세후

 

이번에는 월급을 세전금액으로 넣고 계산해 볼께요. 300만원을 받는다고 가정할 경우, 2,670,060원을 수령한다고 되어 있어요. 사실 세금이라고 해도 국민연금도 회사와 함께 부담하지만, 나중에 받을 수 있는 금액이구요,

 

 

건강보험은 우리가 진료할때 보험적용을 위해서는 필요하죠. 고용보험도 의무적으로 들어야 하는 4대 보험중 하나구요, 근로소득세까지 계산하면, 300만원 월급에서 33만원정도가 공제 후 수령하네요.

 

월급 세전 세후

 

이번에는 많이 조회하시는 사람인 연봉계산기로도 확인해볼께요. 검색어 입력하시고 접속해봅니다.

 

월급 세전 세후

 

포털사이트와 동일하게 월급 300백만원으로 입력하면 같은 기준이라 월 예상 실수령액이 같이 나오네요. 여기서는 퇴직금이 포함된 연봉인지, 별도인지에 대해서 추가적인 문항이 들어있네요. 이경우는 아마 연봉으로 선택한 경우 선택이 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월급에서 퇴직금을 같이 받진 않으니까요.

 

월급 세전 세후

 

이상 월급 세전 세후로 금액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드렸는데요, 쉽계 계산할 수 있을것 같네요. 저도 확인해 보니 거의 유사하게 받고 있는것 같은데요, 대략적으로 본인이 생각하는 연봉이 있다면 실수령액을 확인하기에 이렇게 연봉계산기를 활용하는 것만큼 간단한 방법을 없어 보입니다.